1. 시작하기 전에...
파티션 부분을 마운트 하는 방법은 Archlinux 한글페이지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이 문서는 포고플러그 시리즈 4에 Archlinux, nginx, php, mysql이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저는 750Gb나 되는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쓰기 때문에 파티션의 필요성을 항상 느끼고 있었는데, 리눅스와 MS Windows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써 만든 원칙 중에 하나가 부트영역과 데이터 부분을 나누어야 컴퓨터가 안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위처럼 공통적인 관리부분도 존재하지만 리눅스와 MS Windows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그 중 큰 차이점은 리눅스에서는 장치가 추가되어도 자동으로 표시해 주지 않습니다. 설정값을 넣어줘야 MS Windwos상에서 공유 네트워크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래픽 표시가 없는 SSH상이라 감안해야 될 사항이지만 MS Windows 와는 많이 불편한게 사실입니다.
2.samba에서 다른 파티션에 접속하기
samba에서 다른 파티션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해당 디스크가 파티션이 나뉘어 있어야 하고 두번째, samba의 'nano /etc/samba/smb.conf'에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해 줘야 하며 세번째, 'nano /etc/fstab'에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해 줘야 합니다.
2-1. 파티션을 usb 외장하드 케이스에 장착해서 나누는 방법은 여기를,
SSH상에서 파티션 나누는 법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2-2. 파티션을 마운트합니다.
fdsik -l -fdsik -l를 쳐 주는 이유는 파티션 이름 및 경로를 알기 위함입니다.
mount /파티션 경로이름
2-3. fstab파일에 파티션을 등록합니다.
nano /etc/fstab
# <file system> <dir> <type> <options> <dump> <pass>
/dev/sda2 / ext3 defaults 0 0
위 사항의 자세한 설명입니다.
/sbin/reboot - 재부팅해야 드라이브가 표시됩니다.
2-5. 파티션의 이름 및 경로를 알기 위해 df -h를 입력합니다.
2-6. samba의 smb.conf 파일에 파티션 표시하기
nano /etc/samba/smb.conf입력합니다.
이 밑에 다음을 붙여 넣습니다.
[원하는 영문 이름]
path = / - 파티션 경로를 입력합니다.
read only = no
public = yes
writable = yes
guest ok = no
저장 후 나갑니다.
2-7. samba를 다시 시작합니다.
systemctl restart smbd
파티션 부분을 마운트 하는 방법은 Archlinux 한글페이지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이 문서는 포고플러그 시리즈 4에 Archlinux, nginx, php, mysql이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저는 750Gb나 되는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쓰기 때문에 파티션의 필요성을 항상 느끼고 있었는데, 리눅스와 MS Windows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써 만든 원칙 중에 하나가 부트영역과 데이터 부분을 나누어야 컴퓨터가 안정된다고 생각합니다.
위처럼 공통적인 관리부분도 존재하지만 리눅스와 MS Windows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그 중 큰 차이점은 리눅스에서는 장치가 추가되어도 자동으로 표시해 주지 않습니다. 설정값을 넣어줘야 MS Windwos상에서 공유 네트워크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래픽 표시가 없는 SSH상이라 감안해야 될 사항이지만 MS Windows 와는 많이 불편한게 사실입니다.
windows는 그래픽으로 표시되며 자동으로 표시해 줍니다. |
하지만 리눅스는 추가됐는지 안 됐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
2.samba에서 다른 파티션에 접속하기
samba에서 다른 파티션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해당 디스크가 파티션이 나뉘어 있어야 하고 두번째, samba의 'nano /etc/samba/smb.conf'에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해 줘야 하며 세번째, 'nano /etc/fstab'에서 해당 디스크를 표시해 줘야 합니다.
2-1. 파티션을 usb 외장하드 케이스에 장착해서 나누는 방법은 여기를,
SSH상에서 파티션 나누는 법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2-2. 파티션을 마운트합니다.
fdsik -l -fdsik -l를 쳐 주는 이유는 파티션 이름 및 경로를 알기 위함입니다.
mount /파티션 경로이름
2-3. fstab파일에 파티션을 등록합니다.
nano /etc/fstab
# <file system> <dir> <type> <options> <dump> <pass>
/dev/sda2 / ext3 defaults 0 0
위 사항의 자세한 설명입니다.
- <file system>에는 드라이브의 경로를 입력하면 됩니다.
- <dir>은 사용자가 해당 드라이브에 접속할 때 시작하는 곳을 지정하는 것으로써 기본적으로 /입니다. /는 루트 드라이브에 접속되며 폴더를 지정하면 그 폴더에서 시작합니다. 이것을 이용해 빈 숨김 드라이브를 만들 수 있는데, 루트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고 다시 접속폴더를 지정하면 루트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은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습니다. (야동ㅎㅎ)
- <type>는 사용자가 접속하는 드라이브의 시스템 포맷을 입력합니다. ext3, ext2, ntfs 등을 써주면 됩니다.
- <options>은 사용자가 드라이브에 접속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기본적으로 defaults를 씁니다. 이 조건에 따라 읽기, 쓰기 등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 <dump>는 파일 시스템을 백업할 때 필요한 사항으로 기본적으로 0입니다. 0은 백업을 만들지 않겠다는 뜻이며, 1은 만들겠다는 뜻입니다.
- <pass>는 파일 시스템을 체크할 때 필요한 사항으로 기본적으로 0입니다. 0은 체크하지 않으며, 1은 루트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며, 2는 다른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고자 할때 쓰입니다.
/sbin/reboot - 재부팅해야 드라이브가 표시됩니다.
2-5. 파티션의 이름 및 경로를 알기 위해 df -h를 입력합니다.
2-6. samba의 smb.conf 파일에 파티션 표시하기
nano /etc/samba/smb.conf입력합니다.
[Pogoplug]
path = /
read only = no
public = yes
writable = yes
guest ok = no이 밑에 다음을 붙여 넣습니다.
[원하는 영문 이름]
path = / - 파티션 경로를 입력합니다.
read only = no
public = yes
writable = yes
guest ok = no
저장 후 나갑니다.
2-7. samba를 다시 시작합니다.
systemctl restart smbd
'\\아이피주소'로 들어가면 이렇게 표시됩니다. |
항상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지만 저와같이 USB로 안쓰고 ONLY 하드로만 연결해서 리눅스설치해서 쓰는 사람도 파티션 분할이 가능한가요??
답글삭제방문해 주셔서 감사해요.^^
삭제현재 질문자님이 하드에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고, 포고 s4를 쓰고 있다는 전제하에 말씀드립니다.
1. 우선 파티션 분할은 리눅스가 설치되기 전에 해야 합니다. 물론 파티셔닝 툴이 있어서 리눅스 설치후 파티션을 나눌 수 있기는 한데, 오류가 많아서 쓰는 것은 만류하고 싶습니다. (하드에 배드가 생긴다거나....ㅎㅎㅎ제 경험)
2. 리눅스가 설치되기 전에 파티션이 나뉘어 있다면 samba설정에서 구문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3. 포고s4에 usb 저장소는 좀 피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기기가 매우 낮은 사양입니다. 그래서 반복 쓰기와 읽기를 하드만큼 견뎌줄 수 있을지 의문이고 반복된 읽기쓰기 환경에서 속도를 제대로 보장해 줄지도 의문입니다.
요약
파티션 분할은 리눅스 설치전에만 가능하다.
처음에 나뉘어 있다면 samba구문에 추가하면 된다.
usb저장매체는 포고s4에 맞지 않다.
안녕하세요, 덕분에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답글삭제윗분처럼 저도 HDD에 연결해서 아래와 같이 설정했습니다.
sda1 - 4G, linux
sda2 - 1G, Swap
sda3 - 나머지, NTFS
문제가 NTFS가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fstab 파일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면 되는건가요?
/dev/sda2 swap swap defaults 0 0
/dev/sda3 /ntfs_disk ntfs defaults 0 0
헷갈리는 부분이 ntfs type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삭제구글링을 해보면 ntfs-3g로 설정하기도 하고 ntfs로만 하기도 하더라구요
보통 구글에서 검색해 보면 아키리눅스용 ntfs입력형식이 다 다릅니다.
답글삭제저는 ext3만 써서 모르겠습니다.